본문 바로가기

홈페이지 만들기/기본편

간단한 홈페이지 만들기 - 02.FTP 서버 접속하기

안녕하세요. 

이전 포스팅(간단한 홈페이지 만들기 - 01.웹 호스팅)에서는 실제 홈페이지를 만들고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웹 서버 호스팅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만든 웹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웹 서버를 호스팅 받았다면 해당 서버에 HTML, PHP 파일등을 업로드 하고, 때로는 해당 파일들을 삭제를 해야합니다.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는 방법중 FTP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우선 FTP 서버 접속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저는 그중 대표적인 무료 프로그램인 '파일질라'를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파일질라 홈페이지(https://filezilla-project.org/)에 접속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파일질라 홈페이지 접속 후, Download FileZilla Client를 클릭 합니다.



Download FileZilla Client를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본인 컴퓨터 사양에 맞는 다운로드 버튼(링크)가 뜹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 설치파일을 다운 받고 컴퓨터에 설치해주세요.



설치가 완료된 후 파일질라를 실행시키면 아래 그림과 같은 창이 뜹니다. 

① 사이트 관리자 : 각 서버 정보를 저장하여 매번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바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

② 빠른 연결 : 서버 정보를 입력 한 후 서버 접속, 파일질라 프로그램 재시작시 정보가 지워져있음(일회성)

③ 로컬 저장소 : 파일질라를 실행 한 로컬 PC에 저장소 영역

④ 원격 저장소 : 파일질라를 통해 접속한 원격 PC(서버)에 저장소 영역(웹 서버)




그렇다면 이전 포스팅에서 호스팅받은 웹 서버에 파일질라를 통해서 접속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사이트 관리자를 연 후 새 사이트를 눌러준 후 적절한 서버 이름을 기입합니다. (여러개의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경우 새 폴더를 통해 폴더를 만든 후 폴더별로 서버를 나누어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서버 이름을 기입한 후 오른쪽에 서버 정보를 기입해줍니다.

1. 호스트 : 웹 서버 주소(닷 홈 호스팅의 경우, FTP 아이디.dothome.co.kr

2. 프로토콜 :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선택

3. 암호화 : 'TLS를 통한 명시적 FTP가 가능한 경우 사용' 선택

4. 로그온 유형 : '일반' 선택

5. 사용자 : FTP ID 입력

6. 비밀번호 : FTP PW 입력

-> 모든 정보 입력 후 '연결' 클릭




연결을 클릭 한 후 파일질라 프로그램에서 해당 웹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며 실제 연결이 이루어지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연결 이전에는 공란이었던 원격(리모트) 사이트 칸에 디렉토리들이 뜹니다. 닷홈 웹 호스팅의 경우 html 폴더가 홈 디렉토리입니다.

1. 홈 디렉토리 : 해당 서버에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경우 HTML 파일을 찾는 디렉토리

->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본인의 FTP ID.dothome.co.kr'에 접속하면 웹 호스팅 사에서 미리 정해놓은 웹 페이지가 출력이 됩니다. 이는 홈 디렉토리에 올라가있는 html 파일이 출력이 된 겁니다.





이제 홈 디렉토리에 다양한 HTML 파일들을 올리면 본인만의 홈페이지가 만들어 지는겁니다. 드디어 웹 서버에 다양한 파일들을 올려 본인만의 홈페이지를 만들어 가는 단계에 가까워졌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HTML 파일을 만든 후 해당 파일을 FTP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방법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홈페이지 만들기를 아르바이트로 했을 뿐, 전문적으로 공부해 본 적이 없기에 일부 용어나 기술 설명이 틀릴 수 있습니다. 혹 이런 부분이 발견된다면 가차 없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